개발자들 말하는 보안에 대한 흔한 거짓말
개발자들이 보안에 대해 자주 믿는 ‘책임 전가형’, ‘기술 과신형’, ‘보안 과소평가형’ 거짓말을 분석하고, 현실적인 대응 방안을 제시합니다.
개발자들이 보안에 대해 자주 믿는 ‘책임 전가형’, ‘기술 과신형’, ‘보안 과소평가형’ 거짓말을 분석하고, 현실적인 대응 방안을 제시합니다.
개발문화가 보안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까? 정적 분석 도구(joern)를 이용한 코드 품질과 보안 수준의 평가 배경 개방적이고 협업 중심의 개발문화를 가진 구글 등 회사와 달리, 그렇지 못한 일부 조직에서는 개인의 역량에 따라 코드의 품질 - 보안 수준을 포함하여 - 이 좌우될 수 있습니다. 특히, C 코드에서 strcpy 함수를 사용하는 등의 품질 낮은 코드를 작성하는 경향이 있는 개발자들에게 정적 분석 도구(joern, codeQL 등)을 커스텀 룰을 활용하여 코드의 품질과 보안 수준을 평가하여 제공할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개발 문화가 부족한 제한된 상황에서도 코드 품질과 동시에 보안수준이 향상되는, Good한 수준의 코드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